안녕하세요! 맥초it입니다.

 

윈도우10을 사용하면서 요즘에 이상한 경우가 생겼습니다. 컴퓨터가 한번 절전모드로 들어갔다가 다시 안켜지는 경우가 발생을 한 것입니다. 예전에도 한달에 1-2번 정도 발생했던 것 같은데 요즘에 그 빈도가 점점 많아지더라구요.

그래서 그냥 절전모드를 끄기로 하였습니다. 어차피 업무용 컴퓨터는 계쏙 켜놓고 있는 경우가 잦고 절전모드가 거의 필요 없을 때가 많으니 항상 켜짐으로 놓기로 한 것이지요. 

 

 

1. 절전모드 설정방법

먼저는 제어판으로 접속을 해야 합니다. 윈도우10에서 제어판으로 접속하는 방법 중 가장 간편하게 사용하는 것은 검색을 통해 제어판을 접속하는 방법입니다.

그럼 제어판 항목은 전원 옵션이라는 탭이 있는데요. 이 부분을 눌러주세요.

그럼 다양한 전원 옵션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전원 단추가 작동하는 설정방법이라던가, 이 부분은 노트북에서 유용하겠죠? 본인만의 전원 관리 옵션을 만들 수도 있구요. 이 2가지 옵션은 데스크탑에서는 사용하는 용도가 크게 없기 때문에 저는 제일 먼저 컴퓨터가 절전 모드로 전환되는 시간 변경 부분을 눌렀습니다.

디스플레이 끄기가 10분, 컴퓨터를 절전 모드로 설정이 해당 없음인데요. 그럼 지금까지 절전모드가 아니었다는 뜻인데요. 뭔가 디스플레이와 컴퓨터 간 연결에서 문제가 있었던 게 아닌가 싶네요.

어쨌든 디스플레이가 꺼진 이후 다시 돌아오지 않는 문제였으니 일단 디스플레이 끄기를 비활성화 시키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고급 전원 관리 옵션 설정 변경 부분을 눌러 추가적으로 절전모드 관리를 하려고 합니다.

일단 하드디스크 관리에서 시간을 20분에서 240분으로 늘려놓았고

디스플레이 끄기 부분을 15분에서 240분으로 늘려놓았습니다. 절전모드보다는 전원 관리 옵션인듯 싶은데요.

실제로 전원 관리 옵션에서는 이런식으로 설정이 되어 있었기 때문에 뭔가 설정이 꼬인게 아닐까 싶기도 하네요.

이 부분도 모두 해당 없음으로 변경하였습니다. 

 

 

2. 마무리

이렇게 저의 데스크탑은 전원을 종료하지 않으면 절전모드로 변경되는 일은 없을 듯 합니다. 이렇게 했을 때 아쉬운 부분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괜히 절전모드, 디스플레이가 꺼졌다가 오류로 인해 다시 켜지지 않았을 때 날라가는 작업을 생각하면 그냥 불편하더라도 이렇게 유지하는게 어떨까 싶습니다.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