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포스팅에서는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서 보수월액을 조회하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최근에 집을 알아보면서 LH 임대에 대한 관심을 가지게 되었는데요.
LH 임대아파트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소득조건이 필요합니다. 그렇다보니 본인 세대의 월 평균 소득을 산정해야 하는데요.
위의 링크를 통해서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로 이동이 바로 가능합니다.
그리고 여기서 민원 여기요를 통해 보수월액이 얼마나 산정되었는지 확인을 해볼 수 있습니다.
(광고)
국민건강보험공단 보수월액 조회하기
순서는 이렇습니다. 민원여기요 - 개인민원 - 보험료 조회/산정 - 직장보험료 순서로 이동을 하시면 됩니다.
이렇게 보험료 조회/산정 부분에서 직장보험료 부분을 눌러서 이동을 해주시면 됩니다.
그 전에 먼저 로그인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로그인 방법은 간편인증 로그인, 공동, 금융인증서 로그인 방법이 있습니다.
원하는 방법대로 참고를 해보시기 바랍니다.
그럼 이제 이렇게 직장보험료 조회를 진행할 수 있게 되는데요.
여기서 조회 하고자 하는 연도를 선택하여 조회를 진행해주시면 됩니다.
저는 전년도 평균소득이 필요하기 때문에 전년도 소득이 얼마나 되었는지 확인을 해보려고 합니다.
참고로 올해 소득이 얼마나 산정되어 있는지 확인을 해볼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그럼 위와 같이 직장보험료 조회를 진행해보실 수 있습니다.
보시는 것처럼 고지년월 옆에 보수월액이라는 내용이 있는데요. 해당 조건으로 보수월액을 산정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아무래도 월마다 보수월액의 차이가 조금은 있을 수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요.
이러한 국민건강보험공단 보수월액 외의 다른 방법으로도 근로소득을 증명해볼 수 있습니다.
근로복지공단 월평균보수, 국민연금공단 표준보수월액, 국세청 종합소득 소득금액증명 등 여러가지 방법이 있으니 또한 참고를 해보시기 바랍니다.
이렇게 LH 임대아파트를 신청하면서 산정해볼 수 있는 월평균소득 조회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최근댓글